파이썬 파일 읽기 파이썬에서 파일을 읽기 위해서는 open() 함수를 사용하여 파일 객체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해 파일 내용을 읽습니다. 기본적으로 파일을 읽기 모드로 열며, 파일을 끝까지 읽으면 객체를 닫아야 합니다. open() 함수와 읽기 모드 file = open("file.txt", "r") 첫 번째 인수: 파일 경로 두 번째 인수: 파일 열기 모드 (기본값은 "r"으로 읽기 모드) 파일 읽기 메소드 read(): 파일 전체를 읽고 문자열로 반환합니다. readline(): 파일에서 한 줄을 읽고 문자열로 반환합니다. readlines(): 파일 전체를 줄 단위로 읽고 문자열 리스트로 반환합니다. 예시: 파일 전체 읽기 with open("file.txt", "r") as file: conten..
파이썬 에러 처리 소개 파이썬에서 코드를 실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처리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이 예상치 못한 상황에도 적절히 대처하여 안정성과 가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파이썬에서는 이러한 오류 처리를 위해 예외(exception)라는 개념을 사용합니다. 예외의 종류 파이썬에서는 다양한 예외가 있으며, 오류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예외가 발생합니다. 몇 가지 대표적인 예외를 알아보겠습니다. SyntaxError: 문법 오류가 있을 때 발생합니다. NameError: 존재하지 않는 변수를 참조하려고 할 때 발생합니다. TypeError: 잘못된 형식의 데이터를 사용하려고 할 때 발생합니다. ValueError: 올바르지 않은 값을 사용하려고 할 때 발생합니다. FileNotFou..
파이썬 모듈 소개 파이썬 모듈은 특정 기능을 포함하는 파이썬 소스 코드 파일입니다. 모듈을 사용하면 코드를 재사용하고 구조화하여 프로그램의 가독성과 유지 보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파이썬 표준 라이브러리에는 쉽게 가져와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용한 모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파이썬에서 모듈을 가져오고(how to import)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모듈 가져오기(import) 파이썬에서 모듈을 가져오려면 import 문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수학 관련 함수를 제공하는 math 모듈을 가져와 사용할 수 있습니다. import math 이제 math 모듈이 포함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모듈의 기능 사용하기 모듈을 가져온 후에는 해당 모듈 내의 함수, 변수, ..
파이썬 패키지 소개 파이썬 패키지는 관련된 여러 모듈들을 상위-하위 디렉터리 구조로 구성한 것입니다. 패키지를 사용하면 프로젝트의 구조화와 모듈 간의 관계를 관리할 수 있으며, 코드 재사용성을 높여줍니다. 패키지 구조 파이썬 패키지는 디렉터리와 모듈로 구성되며, 각 디렉터리에는 __init__.py 파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파일은 해당 디렉터리를 패키지의 일부로 인식하게 하며, 초기화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패키지 구조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my_package/ __init__.py module1.py module2.py my_sub_package/ __init__.py submodule1.py submodule2.py 패키지 사용하기 패키지 내의 모듈을 사용하려면 ..
람다 함수 소개 파이썬의 람다(lambda) 함수는 익명 함수의 개념을 지원하는데 사용되며, 간단한 연산이나 기능을 정의할 때 유용합니다. 람다 함수는 한 줄로 작성되며 다른 함수의 인수로 사용될 수도 있고, 인라인 작업에 활용될 수도 있습니다. 람다 함수는 다음과 같은 구문을 사용하여 정의합니다. lambda arguments: expression 람다 함수 예시 다음 예는 두 숫자를 더하는 람다 함수입니다. add = lambda x, y: x + y print(add(3, 5)) # 출력: 8 람다 함수는 코드를 짧게 작성할 수 있지만,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상황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map() 함수 소개 map() 함수는 주어진 함수를 전달된 모든 요소에 적용한 결과를 반환합니다. ..
파이썬 함수 소개 함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입니다. 파이썬에서 함수는 def 키워드를 사용하여 정의하며, 원하는 만큼 매개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함수는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본 구성 요소입니다. 재사용 가능한 코드를 작성하고 이를 필요한 곳에서 호출함으로써 프로그램의 구조와 흐름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함수 작성 예시 다음은 간단한 함수 작성 예시입니다. def greet(name): print("Hello, " + name + "!") 이 함수는 name이라는 매개변수를 받아 인사하는 메시지를 출력합니다. 함수 호출하기 함수를 호출하여 실행하려면 함수 이름 뒤에 괄호를 사용하고 필요한 인수를 전달합니다. 함수 호출 예시 앞서 정의한 함수를 호출해봅니다. greet("Alice") # ..
리스트 내포(List Comprehension) 소개 파이썬의 리스트 내포(List Comprehension)는 간결하고 가독성 높은 방식으로 새로운 리스트를 생성하는 기능입니다. 리스트 내포를 사용하면 for 문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방법보다 Python 코드를 더 효율적이고 표현력있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기본 리스트 내포 사용법 기본적인 리스트 내포 구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expression for item in iterable] 예를 들어, 0부터 9까지 숫자의 제곱 값으로 구성된 리스트를 생성해봅시다. squares = [x ** 2 for x in range(10)] print(squares) # 출력: [0, 1, 4, 9, 16, 25, 36, 49, 64, 81] 이 구문은 다음과 같은..
for문: 시퀀스를 순회하기 파이썬에서 for문은 시퀀스의 각 요소에 대해 코드 블록을 반복 실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시퀀스는 리스트, 튜플, 문자열 등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리스트를 순회하는 for문 nums = [1, 2, 3, 4, 5] for num in nums: print(num) # 문자열을 순회하는 for문 text = "Python" for letter in text: print(letter) range() 함수: 숫자 범위 생성 range() 함수는 일정 범위의 숫자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활용하여 for문을 사용해서 범위 내의 숫자들을 순회할 수 있습니다. # 0부터 4까지 정수를 순회하는 for문 for i in range(5): # range(5)..
if문: 조건에 따른 분기 파이썬에서 if문을 사용하여 조건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if문은 조건식이 참일 경우에만 실행되는 코드 블록을 정의합니다. age = 18 if age >= 18: print("You are an adult.") else 문: 기본 분기 else문은 기본 분기로서, 앞서 나열된 모든 if 문과 elif문이 거짓인 경우 실행되는 코드 블록을 정의합니다. age = 16 if age >= 18: print("You are an adult.") else: print("You are not an adult.") elif 문: 여러 조건 분기하기 elif문은 'else if'의 줄임말로, 여러 개의 조건을 순차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조건이 참인 경우 그에 ..
불리언 (Boolean) 자료형 소개 불리언은 참(True)과 거짓(False)로 나타나는 자료형으로, 조건문 및 논리 연산에 사용됩니다. 불리언 연산자를 사용하여 논리식을 만들어 여러 조건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is_true = 5 > 3 # True is_false = 2 == 6 # False 불리언 연산자 파이썬에서 불리언 값을 처리하기 위한 주요 연산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비교 연산자: 두 값을 비교하여 결과를 불리언으로 반환합니다. ==: 두 값이 같으면 True를 반환합니다. !=: 두 값이 다르면 True를 반환합니다. >: 왼쪽 값이 크면 True를 반환합니다. =: 왼쪽 값이 크거나 같으면 True를 반환합니다. y # True result4 = x < y # False result..
딕셔너리 (Dictionary) 소개 파이썬의 딕셔너리는 키(key)와 값(value) 쌍의 형태로 데이타를 저장하며, 키를 통해 값을 빠르게 조회할 수 있는 효율적인 자료구조입니다. 딕셔너리는 중괄호({})를 사용하여 생성하며, 키와 값은 콜론(:)으로 연결하고, 각 쌍은 쉼표로 구분합니다. # 딕셔너리 생성 person = { "name": "Alice", "age": 30, "city": "New York" } # 데이터 접근 person_name = person["name"] # "Alice" # 데이터 변경 person["city"] = "San Francisco" # {"name": "Alice", "age": 30, "city": "San Francisco"} # 데이터 추가 person["..
리스트 (List) 소개 파이썬의 리스트는 여러 값들을 순서대로 저장하고, 이를 한번에 관리하는 자료형입니다. 리스트를 사용하면 여러 값을 한 변수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인덱스를 사용해 특정 값을 가져오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는 대괄호([])를 사용하여 생성하며, 원소들은 쉼표로 구분합니다. # 리스트 생성 colors = ["red", "green", "blue", "yellow"] # 리스트 원소 접근 first_color = colors[0] # "red" # 원소 변경 colors[1] = "purple" # ["red", "purple", "blue", "yellow"] 리스트의 주요 메서드 리스트는 다양한 메서드를 제공하여 원소를 추가, 제거 및 정렬할 수 있습니다. app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