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은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중 하나로, 프로그램을 객체들의 집합으로 관리하고 이를 활용하여 개발하는 방법입니다. 객체는 상태와 행동을 가지고 있고, 캡슐화(encapsulation), 상속(inheritance), 다형성(polymorphism) 등의 원칙을 따릅니다. JavaScript는 프로토타입 기반의 객체 지향 언어로, 클래스와 인스턴스를 사용하지 않고 프로토타입을 기반으로 객체를 만듭니다. SOLID 원칙이란? SOLID 원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설계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원하는 설계 원칙으로 5가지 원칙을 나타냅니다. SRP(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한 클래스..
코드 난독화란 무엇인가요? 코드 난독화는 소스 코드를 읽기 어렵게 변환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소스 코드의 로직이 외부에서 이해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코드의 무단 도용이나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난독화 방법으로는 변수와 함수명을 변경하거나 줄임말로 바꾸고, 주석을 제거하는 등의 작업이 있죠. JavaScript 코드는 클라이언트 측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소스 코드가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JavaScript의 난독화가 프로젝트의 보안을 강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코드 난독화 도구 사용 방법 코드 난독화 도구를 사용하면 쉽게 소스 코드를 난독화할 수 있어요. 가장 대표적인 도구로는 UglifyJS가 있는데, 이를 사용하면 받아들일 ..
모듈(Module)이란 무엇인가요? 모듈이란, 독립적인 기능 또는 연관된 기능들을 하나의 파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하면 코드를 쉽게 관리하고, 필요한 기능을 재사용할 수 있어요. 또한, 변수나 함수들의 범위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JavaScript는 과거에는 모듈 시스템이 따로 없었지만, ES6(ES2015) 이후로 공식 모듈 시스템이 도입되었습니다. 이제 import와 export 문을 사용해 모듈을 가져오거나 내보낼 수 있죠. 어떻게 모듈을 생성하고 내보낼 수 있나요? 모듈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파일을 하나 만들어서 필요한 함수나 변수들을 작성해야 합니다. 그리고 export 키워드를 사용해서 해당 함수나 변수를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면 됩니다. 예를 ..
브라우저 호환성이 중요한 이유 웹 개발을 하다 보면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같은 코드가 다르게 작동하는 경우를 종종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브라우저 호환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때로는 최신 기능을 사용하고 싶지만, 모든 브라우저에서 지원하지 않는 경우도 있죠. 이런 문제를 미리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으면 웹 페이지를 더욱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요. 브라우저 호환성 확인 방법 브라우저 호환성을 확인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각 브라우저 별로 지원하는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하려는 기능이 구형인지 아닌지를 체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MDN Web Docs나 caniuse.com 같은 사이트를 참고하면 도움이 돼요. 여기서 원하는 기능이 브라우저별로 구현되어..
디바운싱(Debouncing)이란? 디바운싱은 프로그래밍에서 많이 사용되는 개념으로, 주로 이벤트가 너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자주 일어나는 이벤트를 감당하지 않고 일정 시간동안 이벤트가 일어나지 않으면 마지막 이벤트만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창에 글자를 입력할 때마다 발생하는 이벤트를 그대로 처리하면 시스템에 부담이 갑니다. 디바운싱을 통해 일정 시간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마지막으로 발생한 이벤트만 처리하게 됩니다. JavaScript에서는 setTimeout과 clearTimeout 함수를 사용하여 디바운싱을 구현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이렇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let timeoutId; function debounce(func, dela..
JavaScript에서는 클로저와 스코프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클로저와 스코프 개념을 살펴보며, 이를 실제 프로그래밍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알아봅시다. 스코프(Scope)란 무엇인가요? 스코프는 코드의 영역으로, 변수와 함수의 범위와 가시성이 결정됩니다. JavaScript에는 전역 스코프와 지역 스코프가 있습니다. 따라서 변수는 선언되는 위치에 따라 다음 두 가지 범주 중 하나에 속합니다. 전역 변수: 전역 스코프에 선언되어 전체 코드에서 접근 가능한 변수입니다. 지역 변수: 지역 스코프에 선언되어 해당 스코프 내에서만 접근 가능한 변수입니다. JavaScript에서 함수를 선언하면 함수 스코프라는 새로운 지역 스코프가 생성됩니다. 또한 변수를 선언할 때 var 키워드를..
JavaScript에서 비동기 프로그래밍이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콜백, 프로미스(Promise), async/await를 사용한 비동기 프로그래밍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인 비동기 처리: 콜백 함수 콜백 함수는 비동기 작업이 완료되고 결과를 처리할 때 사용되는 함수입니다. 다음은 setTimeout() 함수를 사용한 콜백 함수 예제입니다. function callback() { console.log("Callback executed"); } setTimeout(callback, 1000); console.log("After setTimeout"); 콜백 함수의 주요 단점 중 하나는 '콜백 지옥(Callback Hell)'이라고 하는, 콜백 함수가 여러 번 중첩되어 가독성..
실시간 웹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동안 데이터를 즉시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JavaScript에서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WebSocket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WebSockets이란 무엇일까요? WebSockets은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웹 기술입니다. 즉, 웹 사이트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시간 애플리케이션, 채팅 애플리케이션, 온라인 게임 등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웹소켓 연결 시작하기 JavaScript에서 WebSocket을 사용하려면 먼저 WebSocket 객체를 생성해야 합니다. WebSocket 객체를 생성할 때에는 서버의 URL을 전달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JavaScript에서는 개발을 보다 쉽게 만들어주는 여러 가지 API가 있습니다. 이번에는 Fetch, LocalStorage, Geolocation 등 다양한 웹 API를 소개하고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데이터 가져오기: Fetch API Fetch API는 웹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전송하는 상황에서 유용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서버로부터 웹 페이지에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간단한 HTTP GET 요청을 Send할 수 있습니다. fetch("https://api.example.com/data") .then(response => response.json()) .then(data => console.log(data)) .catch(error => console.er..
JavaScript를 이용한 폼 유효성 검사: 사용자 입력 확인하기 폼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받을 때, 폼에 올바른 정보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필수적입니다. 폼 유효성 검사를 통해 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한 폼 유효성 검사를 살펴봅시다. 기본 폼 구성 및 처리 우선 간단한 HTML 폼을 만들어 봅시다. 이 폼에는 이름, 이메일, 암호 등 필요한 입력란이 있습니다. 이름: 이메일: 비밀번호: 이벤트 처리 및 기본 동작 차단 폼 유효성 검사를 수행하기 전에, 폼의 제출 버튼이 클릭되었을 때 수행될 이벤트를 처리해야 합니다. 이 경우에는 JavaScript를 이용해 submit 이벤트를 포착합니다. 또한, 기본 submit 동작을 차단하여 페이지 새로 고침이 발생하지 않..
자바스크립트에서 문서 객체 모델(DOM)은 웹페이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객체 기반 표현입니다. 웹페이지는 HTML 코드로 작성되며, 브라우저는 이 코드를 해석하여 DOM을 생성합니다. 이 DOM을 통해 자바스크립트는 웹페이지 내의 요소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DOM 요소 선택하기 DOM 요소를 선택하기 위한 메서드로는 querySelector, getElementById, getElementsByClassName, getElementsByTagName 등이 있습니다. 이들 메서드는 DOM에서 원하는 요소를 찾아내어 조작할 수 있도록 만들어줍니다. // HTML에서 id가 'header'인 요소를 선택합니다. const header = document.getElementById('heade..
자바스크립트에서 이벤트 처리는 웹페이지의 사용자 인터랙션과 같은 특정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버튼을 클릭하거나, 폼을 제출하거나, 웹 페이지가 로드될 때 등, 이러한 동작을 '이벤트'라고 부릅니다. 이벤트 처리는 이러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원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이죠. 브라우저의 기본 이벤트 이해하기 웹 브라우저에는 여러 가지 기본 이벤트가 있으며, 이러한 이벤트 중 일부는 웹 개발자가 직접 다루기도 합니다. 이벤트의 종류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마우스 이벤트: click, mousemove, mousedown, mouseup, mouseenter, mouseleave 등 키보드 이벤트: keydown, keyup, keypress 등 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