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속도에 대해 알아보자

반응형

인터넷 속도와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품질 비교

인터넷 속도는 Mbps(메가비트(Megabits) 당 초 세), Kbps(킬로비트(Kilobits) 당 초 세)와 같은 단위로 표시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실제로 얼마나 빠른지에 대한 감을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유튜브와 넷플릭스 같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활용하여 흔히 얘기되는 통신 속도와 실제 스트리밍 화질 간의 관계를 살펴보겠습니다.

 

1. 인터넷 속도 기본 개념: bps, Kbps, Mbps


통신속도는 다음과 같은 단위로 측정됩니다.
- bps(Bit per second) – 초당 비트
- Kbps(Kilobits per second) – 초당 킬로비트, 1 Kbps는 1,000 bps
- Mbps(Megabits per second) – 초당 메가비트, 1 Mbps는 1,000 Kbps, 1,000,000 bps

SK브로드밴드, KT 등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ISP)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속도는 대개 Mbps 단위로 표시됩니다.

이건 보통 온라인에서 정보를 전송하거나 받는 속도를 나타냅니다.

 

제가 쓰고 있는 스마트폰 요금제는, 모두 사용한 이후에는 5Mbps의 속도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그게 어느 정도 속도인지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2.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의 화질

 

유튜브와 넷플릭스와 같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는 다양한 화질의 영상을 제공합니다. 화질에 따라 필요한 인터넷 속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2.1. 유튜브

- 360p: 최소 0.7 Mbps
- 480p: 최소 1.5 Mbps
- 720p: 최소 2.5 Mbps
- 1080p: 최소 4 Mbps
- 2K: 최소 12 Mbps
- 4K: 최소 20 Mbps

 

2.2. 넷플릭스

- SD (480p): 최소 3 Mbps
- HD (720p/1080p): 최소 5 Mbps
- 4K UHD (Ultra High Definition): 최소 25 Mbps

 

인터넷 속도에 따라 각 화질을 몇 개의 기기에서 동시에 볼 수 있는지를 판단하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속도가 50 Mbps인 인터넷 연결을 가진 가정에서 25 Mbps를 필요로하는 4K 영상을 최대 2개의 기기에서 동시에 시청할 수 있습니다.

 

저는 기본 제공되는 스마트폰 데이터를 다 쓴다면, 유튜브나 넷플릭스를 1080p 화질로 시청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나쁘지 않은 것 같네요.

물론 이는 이론적인 값으로 실제 환경에서는 아래와 같은 요인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 기기의 성능
- 실제 인터넷 연결 속도
- 화질에 따른 영상 압축률
- 서버와의 거리 등

앞으로 인터넷 속도가 언급될 때마다 이 글에서 다룬 주제를 염두에 두고 통신속도와 온라인 활동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Designed by JB FACTORY